- • 초음파 ACF 접합 기술
- - 열압창방식 (기존):외부에서 열원을 통한 에너지 공급으로 ACF필름의 경화유도
- - 초음파 ACF집합:외부의 열 가열 없이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ACF film이 자체 발열하면서 경화발생(백경욱 교수)
- • ACF는 현재 스마트카드, 액정표시장치, 디스플레이패널, 컴퓨터, 휴대용 전화기기 및 통신시스템 등 여러전자부품에 폭넓게 사용
- - ACF 세계 시장규모는 1조, ACF 접합장비는 5,500억원으로 추정(2015년 기준)
- • 대형TV 및 노트북, 게임기등 중소형 제품의 수요 증가 및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향후 ACF 접합장비 시장도 지속적 확대 예상
- • MEMS 마이크로폰 제조기술
- - 능동적으로 주파수 튜닝이 가능한 마이크로폰 장치(최홍수 교수)
- - 멤스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 제작 및 운용 기술(제민규 교수)
- • 잡음제거 및 음성 명령 등 고급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MEMS 마이크로폰을 탑재한 모바일 기기가 늘며서 최근 시장규모가 크게 증가
- - MEMS 마이크로폰 시장 규모 : 약 1조('14년 Global 기준)
- • 휴대용 단말기기가 슬림화 되고 기능이 추가되면서 향후 시장 확대가 예상
- • 1단계('14~'15년)MEMS 기반의 마이크로폰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기반 구축
- - MEMS 기반의 마이크로폰 chip독자 개발 및설계
- - MEMS 마이크로폰 chip에 특화된 ASIC개발 및 설계
- - MEMS 마이크로폰 package개발
- • 2단계('16년) 모바일 Device/차량용MEMS 마이크로폰 Package개발 및 상용화
- • 레이저 유도 플라즈마 분광법(LIBS)
- - 시료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플라즈마를 생성시킨 후 들뜬 상태에 있던 원자/이온이
- - 바닥상태로 떨어질때 발생하는 빛을 스팩트로미터를 이용하여 분광 분석하는 방법
- - 시료의 전처리 과정 없이 현장 시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원소를 실시간 분석/검출
- • 2000년대 수평시추법과 수압파쇄법이 결합되면서 셰일가스 개발이 본격화
- • 셰일가스 시추를 위한 미국의 수압파쇄 시장은 2018년 37억불 규모로 성장예상
- • 셰일가스 산업에서 수처리는 환경적인 측면이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
- - 회수수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의 필요성 중대(시장규모 990억원, '17년기준)
- • 셰일가스 外 기존 유전/가스전도 동제품 적용 및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
- • 1단계('15~'16년)회수수 샘플링 플랫폼 설계/제작/평가를 위한 기반 구축
- - LIBS평가 및 DB구축
- - LIBS장비 시작폼 설계 및 제작('15年末~'16년)
- • 2단계('17년) LIBS 장비 최적화 및 상용화
- - 국내기업(석유공사, 가스공사등)이 운영권을 가진 해외 유전/가스전 1st Target
- •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등
- - 실레인 가스(SiH4)를 열분해항 생성된 실리콘을 Graphite(흑연)과 합성하는 기술
- - 동 기술을 통해 전지 용량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고, 고용량 전지 구현 가능
- • 2차 전지 세계시장 규모는 약 140억 달러규모('13년기준)
- - LG화학, 삼성SDI 등 국내업체가 글로벌 시장을 주도, 최근 중국 ATL,Lishen등이 부상
- • 2차 전지는 제조원가중 60~70%가 원재료비이며 이중 4대 핵심소재가 약 75~80%임
- • 세계2차 전지용 음극재 시장 규모는 1.1조 수준('14년 기준)
- - 양극재는 국산화가 80~90% 진행되었으나, 음극재는 국산화가 1% 미만
- - 음극재 40~50%의 수요가 LG화학, 삼성SDI 등 국내 수요임
- • 1단계('15년)1st Target 수요처 공동개발진행 및 납품 추진
- - 소형 2차 전지 분야 및 음극재 분야
- • 2단계('17년)End-User 및 전기차用 등 중대형 전지로 Application 추가 확대
- • 열전소재용 나노분말 및 고순도 분말을 이용한 열전재료 제조
- - 열전재료를 습식 화학공정을 통해 합성하는 기술로 열전재료를 대량으로 합성가능
- - 열전 특성 향상을 위하여 나노분말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기술과 이를 위한 장치
- • 열전 냉각 시장규모는 1조원 수준('15년)
- - 산업용 정밀 냉각기, 정수기등 틈새 냉각시장 외 자동차용 냉난방시트에도 적용가능
- - 최근 반도체 집적화에 따른 발열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
- • 열전발전 시장은 높은 잠재 시장 규모에도 불구하고 발전 효율이 낮아(100%)상용화 제품이 보고된 바는 없음
- - 배페기열등을 활용한 산업용, 자동차용 시장 연구 개발이 활발이 추진중
- • 1단계('15년)고효율 냉각용/발전용 소재 제조기술을 우선 확보하고 향후 이를 활용한 모듈 제조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을 통해 '15년末
국내시장 본격진출 - - 가전 정수기, 냉장고등 열전 냉각 부문
- • 2단계('17년이후)발전부문 소재/모듈기술 확보로 매출 점진적 확대
- • 차량용 운영체제 기반 자동차용 제어시스템
- - 전기장치가 보편화 되면서 이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의 기능이 확대
- - 그린모빌리티는 업계 최초로 차량통합제어기에 실시간 운영체제(OSEK OS)를 적용함으로서 표준 인터페이스 사용에 따른 개발 및 편의성
제공, 비용절감이 가능 - • 전세계적인 자원고갈 및 CO2 규제강화 등으로 무공해/무소음의 친환경 전기이륜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보급확대를 위한 정책적
지원 강화중 - - 국내 전기이륜차 수요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가 없으나 정부 지원에 힘입어 향후 높은
- - 성장성을 예상하며 환경부에서 2016년 이후 보급 사업 전국적 확대 실시 예정
- • 글로벌 전기이륜차 시장
- - 글로벌 시장은 2013년 14백만대에서 2018년 19백만대로 매년 6% 성장 예상되며 대부분의 수요는 Asia-Pacific에서발생되는 것으로 전망
- • 1단계 배달 업체 및 공공기관/지자체 등과 연계해 국내 거래선 조기 확보
- • 2단계 위탁점 판매 시장 진출로 국내 B2C 매출을 점진적으로 확대
- • 3단계 성림첨단산업 해외 네트워크 활용을 통한 부품 사업 글로벌 진출 추진
- • SNP 분석을 기반으로 한 당뇨 위험성 및 질병관리
- - 개인 SNP 정보 및 약식정보를 통해 사전 당뇨위험 분석 및 발병확률 예측
- • 맞춤형 당뇨관리 HWR(Home Meal Replacement)
- - 효과적으로 혈당을 관리할 수 있는 식이요법 프로그램
- • 2014년 기준 국내 당뇨환자 수 500만명으로 추정
- - 유전적 원인에 의한 당뇨(1형 당뇨)는 전체당뇨 환자의 4~5%만을 차지하고 95%가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 과잉 등 생활습관에 의해
발생하는 2형당뇨 - • 식습관의 변화로 20~40대 연령의 당뇨병 진료환자가 급격히 증가
- - 서양식 식습관으로 인해 30대부터 당뇨가 발병하는 "젊은당뇨" 급격히 증가
- • 1단계('15년) 국내 500만명 당뇨환자 대상 식이관리 시장 진출
- • 2단계 고혈압, 암환자, 고지혈증, 비만 등 식이관리가 필요한 국내 타 질병군 진출
- • 3단계 중국, 일본, 동남아 주요 3국 인접 아시아 국가로 진출
- • 비접촉, 인체 무해하게 3D 무지향성으로 다수의 디바이스 동시 무선전력전송 기술
- - 위치, 방향과 장애물 상관없이 24시간 자유롭게 무선전력 수신 및 충전 가능
- - KAIST Tesla lab에서 개발된 DCRS(다이폴 코일 공진 방식) 적용
- •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은 현재 모바일, 가전제품, 자동차, 인프라 등에 폭넓게 사용
- - 14년 61억 달러의 규모에서 '20년 150억 달러로 16%의 연평균 성장 전망
- • 응용분야 시장은 크게 모바일, 가전제품, 자동차, 산업용, 인프라 시장으로 분류되며 모바일 및 인프라 시장이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
- - 모바일 시장은 '14년 16억 달러 규모에서 '20년 54억 달러로 22%의 연평균 성장전망
- - 인프라 시장은 '14년 35억 규모에서 '20년 51억 달러로 6%의 연평균 성장 전망
- • 1단계 천장형 및 테이블형 제품을 개발로 저변 확대 실시
- - 실내 장소 내에서 복수의 모바일 기기를 무지향성으로 충전 가능
- • 2단계 모듈 및 부품(SoC) 비즈니스로 전환
- - 기술제휴를 통한 송수신부 제품 다양화 / Application 확대 추진
- • 3D 물체 인식 기술
- - 특정 물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입력, 물체의 특정 코너점을 중심으로 특장점을 추출해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델과 비교/식벽하는
기술 - • 3D 물체 인식법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RVM(Reverse Vending Machine)서비스 제공
- • 글로벌 잠재 시장 추정시, RVM시장 규모는 약 230만대(46조)로 추정
- - M/S 1위 TOMRA가 추정한 현 글로벌 RVM 시장은 연간 2,300억 수준
- • 국내의 제조적 및 사회적 니즈에 따라 2017년부터 RVM 시장 본격적 형성 예상
- - 각종 제조정비에 따라 향후 5년간 70%이상 고성장 예상
- • 1단계('16년) 한국형 RVM 양산 추진 및 보상서비스 안정화
- • 2단계(17년 이후) B2B 고객확대 및 신규 Built-in 제품 개발
- • 3단계(19년 이후) 브랜드 완성도 제고 및 엔지니어링 수출 추진
- • 입자 여과 장치 및 입자 여과방법
- - Lab-on-Disc 기반 폐얌 혈중 암세포 변이 다중분석 개발
- - 암의 혈액에서 순환하는 암세포를 분리, 검출, 분석
- • 글로벌 체외진단시장
- - 14년 약 75조원 규모에서 연평균 4.2%씩 성장하여 '18년 90조원 규모로 성장 추정
- • 분자진단 시장
- - '14년 약 8조원 규모로, 연평균 12%씩 성장, '18년 12조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
- - CTC 글로벌 시장 전망 : '11년 1조원 규모에서 '18년 8조원 수준으로 성장 예상
- • 단기적으로는 맞춤의료를 위한 암환자의 조직/혈액 시료로부터 암 돌연변이를 RQ-PCR / NGS 검사 하는 서비스 진행
- • 장기적으로는 개발 중인 혈액 내 존재하는 암세포를 분리하여 게놈상의 돌연변이 검사하고 암환자의 예후를 조직이 아닌 혈액을 이용하여
암게놈 변이를 분석하는 서비스를 통해 수익 확대 예정 - • 대용량 에너지 저장(ESS)이 가능한 차세대 이차전지 "레독스 흐름전지" 제품 제조
- - 레독스 흐름전지는 일반 이차전지와 다르게 출력/에너지 용량이 완벽히 분리되어 있어 고객별 요구사항에 따라 출력과 에너지 용량 조합이
용이해 다양한 출력의 ESS용 이차전지로 적합 - - 스탠다드 에너지는 기존 레독스 흐름전지 소재, 구조에서 벗어난 초박형 고출력 레독스 흐름전지를 구현함으로서, 공간활용 및 효율성
극대화 - • 세계 각국은 ESS 실증과 함께 보조금 지급, 세금 감면 등을 통해 사업화에 주력 중
- • 가정용 및 상업용 ESS 개발 수요 확대 예상
- - 발전소, 변전소 등 전력공급 안정화를 위한 중대형 저장 수요가 중대하여 대용량화 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
- • 실증 프로젝트가 대부분 완료되는 2017년 이후 국내 시장 본격 성장 전망
- • 1단계 가정용, 상업용(건물, 선박등), 이동형 시장으로 진출
- • 2단계(17년 이후) 향후 브랜드 인지도 확보를 통한 상업용, 선박용 EDS 사업 진출로 국내외 B2B 매출 점진적 확대
- • 경쟁기술(핀방식, 실리콘방식)의 장점을 결합해 차별적인 테스트 소켓 기술 개발, 고출력 레이저 커팅기술을 이용항 0.3mm이하의 초정밀
미세 피치용 핀 제조 - - FPCB에 패턴을 형성한 뒤 상하단에 핀을 배치하여 그 안에 실리콘 채워넣은 후, 초정밀 레이저 가공기술을 통해 미세하게 핀을 커팅하는 방식
- - Barrel(몸통)과 스프링을 이용하지 않아 단가를 낮추고, 초정밀 레이저 커팅기술을 통해 0.3mm이하의 Fine Pitch에 대응 가능
- • 세계반도체 시장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loT시장 개화로 성장세 회복 中
- • 반도체 성장에 따라 반도체 테스트 소켓 또한 동반 성장
- - 국내 테스트 소켓 시장은 현재 2,500억원에서 16년 2,700억원 수준으로 성장 전망
- • 1단계(초기) 특수 반도체 영역진출(고사양 카메라 모듈 테스트 및 반도체 시장과 자동차 전장)
- • 2단계(중장기) 향후 펨토초 레이저 가공기술을 토대로 메모리 반도체용 0.15mm이하의 초정밀 미세 pitch 시장 진입
(주)크레셈

개요 | 회사명 | (주)크레셈 | 설립일 | 2014.06.02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오상민 | 소재지 | 대전시 유성구 문지로 | |
자본금 | 500백만원 | 업종 | ACF본딩장비 제조 | |
기술 | 학교 |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| 개발자(소속) | 백경욱 교수(신소재 공학과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(주)미르기술 | 사업분야 | SMT검사장비, LED package장비 등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
(주)평화기술연구원

개요 | 회사명 | (주)평화기술연구원 | 설립일 | 2014.11.25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이박준 | 소재지 | 대구 달성군 현풍면 상리 | |
자본금 | 200백만원 | 업종 | MEMS기반 마이크로폰 모듈개발 및 제조 |
|
기술 | 학교 | 대구경북과학기술원(DGIST) | 개발자(소속) | 최홍수교수(마이크로봇 연구실) 제민규 교수(정보통신 융합공학 전공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현자출자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(주)평화홀딩스 | 사업분야 | 비금융 지주회사(자동차 부품업등)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에코에너지솔루션즈(주)

개요 | 회사명 | 에코에너지솔루션즈(주) | 설립일 | 2014.12.10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박희원 | 소재지 | 광주시 북구 첨단과기로 | |
자본금 | 610백만원 | 업종 | 환경분석장비 관련 소프트웨어 제조등 | |
기술 | 학교 | 광주과학기술원(GIST) | 개발자(소속) | 박기홍교수(환경공학부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현물출자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에너지홀딩스그룹(주) | 사업분야 | 유전/가스전 투자전문 및 기술자문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SJ신소재

개요 | 회사명 | (주)SJ신소재 | 설립일 | 2013.05.23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윤지현 | 소재지 | 울산 북구 모듈화산업로 | |
자본금 | 4,080백만원 | 업종 | 2차전지 음극활/양극활 물질제조 | |
기술 | 학교 | 울산과학기술원(UNIST) | 개발자(소속) | 조재필교수(친환경에너지공학부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세진이노테크(주) | 사업분야 | 기타 자동차 부품 및 내장제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정관머티리얼

개요 | 회사명 | (주)정관머티리얼 | 설립일 | 2013.05.03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김태흥 | 소재지 |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 | |
자본금 | 750백만원 | 업종 | 열전소자 및 응용모듈 | |
기술 | 학교 | 대구경북과학기술원(DGIST) | 개발자(소속) | 김동환 선임연구원(에너지연구부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현물출자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(주)정관 | 사업분야 |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그린모빌리티

개요 | 회사명 | (주)그린모빌리티 | 설립일 | 2012.12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오승호 | 소재지 |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| |
자본금 | 1,100백만원 | 업종 | 소형전기자동차, 전기자전거, 제어시스템 및 전자부품 |
|
기술 | 학교 | 대구경북과학기술원(DGIST) | 개발자(소속) | 조성래(DGIST 로봇시스템 연구부 연구원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현물출자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(주)성림첨단산업 | 사업분야 | HDD, 전기차용 마그넷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닥터키친

개요 | 회사명 | (주)닥터키친 | 설립일 | 2015.07.01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박재연 | 소재지 |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| |
자본금 | 500백만원 | 업종 | 당뇨환자용 식단제공 서비스 | |
기술 | 학교 |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| 개발자(소속) | 이관수 교수(바이오 및 뇌공학과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매직테이블 | 사업분야 | 반조리식 유통사업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테슬라스

개요 | 회사명 | (주)테슬라스 | 설립일 | 2014.03.11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한승훈 | 소재지 |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| |
자본금 | 125백만원 | 업종 | 전기전자 전력 IT분야 | |
기술 | 학교 |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| 개발자(소속) | 임춘택 교수(원자력 및 양자공학과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- | 사업분야 | -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수퍼빈(주)

개요 | 회사명 | 수퍼빈(주) | 설립일 | 2015.06.17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김정빈 | 소재지 |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| |
자본금 | 100백만원 | 업종 | 서비스사업 | |
기술 | 학교 |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| 개발자(소속) | 권인소 교수(전기 및 전자공학과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금융기계(주) | 사업분야 | 섬유기계 제조 및 수리업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클리노믹스

개요 | 회사명 | (주)클리노믹스 | 설립일 | 2011.07.01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김병철 | 소재지 | 울산광역시 물주군 언양읍 | |
자본금 | 295백만원 | 업종 | 생명공학 융합바이오 서비스 | |
기술 | 학교 | 울산과학기술원(UNIST) | 개발자(소속) | 조윤경 교수(생명공학부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아미코젠 | 사업분야 | 제약용특수효소/바이오의약소재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스탠다드에너지(주)

개요 | 회사명 | 스탠다드에너지(주) | 설립일 | 2013.08.01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김부기 | 소재지 |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160 | |
자본금 | 304백만원 | 업종 | 섬유화학 | |
기술 | 학교 |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| 개발자(소속) | 이대길 교수(기계공학과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리켐 | 사업분야 | 기초무기화학물질 제조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이노글로벌

개요 | 회사명 | (주)이노글로벌 | 설립일 | 2014.09.16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이은주 | 소재지 |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 | |
자본금 | 400백만원 | 업종 | 전기전자 | |
기술 | 학교 | 광주과학기술원(GIST) | 개발자(소속) | 고도경 교수(광공항응용물리학과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- | 사업분야 | -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- • 기존 포틀랜트 시멘트 대비 우수한 발현강도와 원가경쟁력을 갖춘 무시멘트 개발
- - 기존 시멘트트는 석회석과 점토, 고가의 첨가제를 활용하지만 본 기술은 저가의 첨가제와 슬래그를 활용하여 상온경화를 통한 친환경 건축자재
생산이 가능함 - - 기존 천장재와 백색시멘트 시장의 대체효과가 우수하여 다양한 건축자재 활용가능: 상온 경화(에너지저감) 및 CO2발생량 저감
- • 국내 천장재 시장은 3,000~4,000억원 수준, 점차 친환경 천장재로 대체되고 있음
- • 백색시멘트의 시장규모는 2,000억원 수준, 가정용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
- - 국내 천장재와 백색시멘트를 1차 타켓으로 선정, 중국 및 러시아 지역진출 가능
- • 1단계(초기) 국내 공공기관 중심으로 친환경 천장재 적용 계획
- • 2단계(중장기) 현지 슬래그 부산물을 활용하고 결합재 방식의 기술수출을 통하여 중국 및 글로벌 시장을 확대할 계획
- • 선박내 차폐공간내에서 무선통신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표면차 무선통신 기술 개발
- - 기존 선박내 통신 시스템은 인터폰 및 전력선을 구축한 통신이 활용되고 있으나 철판에 둘러쌓인 환경내에서는
통신이 활발하지 않음 - - 기존 무전기에 표면파 안테나를 교체하여 선박내 이동이 편리한 무선통신 기기
- • 국내외 해외선박용 무선통신 시장규모는 3,000억원 규모
- • 기존무전기 대체효과 및 새로운 신규 아이템 창출을 통한 시장 진입이 가능함
- - 컨테이너 잠금장치 및 선박내 무선전력 아이템 활용 기회 증대
- • 1단계(초기) 국내 선박 및 조선소 무전기 시장 진입(현대,삼성,대우 등 빅3 중심)
- • 2단계(중장기) 해외 조선소 및 선박 진입 계획
- • 농업에서 가장 중요한 ‘관수’를 집중적으로 해결하는 스마트 밸브/관리 솔루션 개발
- -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에 MCU(통신모듈)와 메모리를 임베디드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농지의 관수시설을 컨트롤하고, 관수데이터 저장 및
관리 가능 - - 복잡한 통합솔루션과 달리 관수만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①초기설치비용을 낮추고 ②효과적 관리 및 ③관리비용 절감 가능
- • 스마트팜이란 농업과 ICT 기술의 융합으로 각종 센서기술을 이용해 농업환경 정보를 수집하고, 통합제어시스템-네트워크-분석SW/스마트기기와
연계하는 기술 - • IoT 소물인터넷 서비스 개발 및 확산을 목적으로 통신사 주도로 사업 전개 중
- - ‘15년 스마트팜 Start-up 글로벌 총 투자규모는 약 5조원으로 전년대비 2배 증가
(출처 : AgFunder(미), 스마트팜 Startup 전문 크라우드펀딩 기관) - • KT 스마트팜 솔루션 시범사업자 선정(전라도, 경상도 노지용 밸브 공급)
- • IoT 플랫폼 사업자인 엔텔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선정, 지속적인 인큐베이팅 지원 및 해외 사업 진출 시 엔텔스 해외 사업망 활용 기대
- • 중국 텐센트 액셀러레이터(상해) 배치 우승으로 중국 진출 지원 및 후속투자 기대
- • 연구소기업 등록으로 향후 R&D과제(6억원/2년) 매칭 계획, TIPS(5억원/2년) 지원 예정
- • 영상 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통하여 대상, 행동, 상황 등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
- - 사생활보호에 취약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초저해상도 영상인식 기술 등 Privacy Preserving이라는 신개념 기술 컨셉 도입
- • 개인용 통신장비의 주파수 및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주위의 물체를 높은 정확도로 인식할 수 있는 레이더 솔루션 개발
- • 영상/레이더 기술은 4차 산업혁명 및 초연결 사회의 진입으로 인해 재해, 보안, 교통 등 폭넓은 분야에 수요가 예상
- • 영상인식 기술은 향후 사생활보호 이슈로 인해 홈시큐리티 등의 영역에서 저해상도 영상인식 기술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
- • 레이더 기술은 한정된 주파수, 원가 등으로 인해 보급이 어려웠던 장비를 소형화, 개인화할 수 있어 드론, 자동차, 군수, 공공시장 등에
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 - • 영상인식/레이더 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보안시스템, 카메라/CCTV, 무인자동차, 로봇등에 활용될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기업에게 판매
- • 수요 기업들과 M&A 또는 라이센싱을 추진할 예정. 현재 잠재 수요기업으로 (영상기술) Logitech, Google, Facebook / (레이더기술) 한화탈레스,
LIG넥스원 등과 전략적 관계 구축 - • Harvard Medical School 윤석현 교수의 특허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으며, 현재 Brillouin Scattering 기반 생체진단장비 BOSS*를
개발하여 2017년 안과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음 - - 종래의 진단장비들은 생체내 조직의 외형적 특징을 영상화하는데 그치고 있으며, 그 조직의 물성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에 많은 제약이 있었음.
Intelon Optics, Inc.는 BOSS를 통해 기존에 정확히 측정할 수 없었던 물성인 강성(Stiffness) 및 점탄성(Viscoelastic)을 비접촉식으로 신속·정확
하게 측정하여 안과 전문의들에게 진단 및 수술에 혁신적 진보를 가져다주고자 함 - • 글로벌 체외진단시장
- - 14년 약 75조원 규모에서 연평균 4.2%씩 성장하여 '18년 90조원 규모로 성장 추정
- • BOSS는 종래에 유사기능을 가진 경쟁제품이 없어 굴절수술시장, 녹내장진단시장, 콜라겐교차결합술시장, 고도근시진단시장 등, 최근 확장되고
있는 다양한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높은 시장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- • 2017년부터 안과용 진단장비를 판매하고, 이후 GIST기술을 활용하여 내시경, 피부과 등에까지 적용범위를 확장할 예정
- • 향후 OCT 등 기업에 라이센싱으로 수익을 창출하며 2019년에 M&A 추진예정
(주)네오본드
개요 | 회사명 | (주)네오본드 | 설립일 | 2014.08.18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장인배 | 소재지 | 유니스트창업보육센터 506-11 | |
자본금 | 250백만원 | 업종 | 건축자재 | |
기술 | 학교 | 울산과학기술원(UNIST) | 개발자(소속) | 오재은 교수(도시환경공학부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- | 사업분야 | -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지엔오션

개요 | 회사명 | ZN Ocean(미정) | 설립일 | 12월말 설립예정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박철균 | 소재지 | 부산광역시 | |
자본금 | 500백만원 | 업종 | 전기전자 전력IT분야 | |
기술 | 학교 | 울산과학기술원(UNIST) | 개발자(소속) | 번영재 교수(컴퓨터공학부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선보유니텍(주) | 사업분야 | 선박구성 부품 제조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스마프(주)

개요 | 회사명 | 스마프(주) | 설립일 | 2015.04.25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채한별 | 소재지 | 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 303-15 만조빌딩 (주)웰아이피에스 |
|
자본금 | 33백만원 | 업종 | 스마트 팜 솔루션 | |
기술 | 학교 |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| 개발자(소속) | 이건재 교수(신소재공학부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(주)엔텔스 | 사업분야 | 에너지 저장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이고비드

개요 | 회사명 | (주)이고비드 | 설립일 | 2016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양현종/마이클유 | 소재지 |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 유니스트길 50, 106동 403-2호 | |
자본금 | 150백만원 | 업종 | 컴퓨터비젼, 인공지능, 레이더 | |
기술 | 학교 | 울산과학기술원(UNIST) | 개발자(소속) | 양현종 교수 외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교원창업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- | 사업분야 | -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Intelon Optics, Inc.

개요 | 회사명 | Intelon Optics, Inc. | 설립일 | 2011.06.03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Dominik Beck | 소재지 | 1209 Orange Street, Wilmington, New Castle County, Delaware, US | |
자본금 | 1,000USD | 업종 | Bio-Medical Device | |
기술 | 학교 | 광주과학기술원(GIST) 外 | 개발자(소속) | 정의헌 교수(기계공학부) 外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K-Cube Ventures | 사업분야 | 벤처투자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- • 내화물의 정확한 잔존량 파악이 가능한 센서기술로 내화물 전체를 모니터링 가능
- - 내화물 센서를 통한 전기신호 감지기술과 높은 열에 적응할 수 있는 Layor 전기신호 감지 기술 개발
- • 국내외 내화물 제조업조 업체의 생산제품에 센서적용이 가능하며, 글로벌 엔지니어링사와 협력관계 구축을 통하여 시장진입 계획
- • 제철소 전체 공정의 80% 적용 가능, 기타 열 시장으로도 진입 가능함
- - 세계 최초로 내화물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
- - 글로벌 엔지니어링(PAUL WURTH)사와 협력, 제품 표준화를 통한 시장진입 계획
- • 1단계 : 세계 최초로 내화물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
- • 2단계 : 글로벌 엔지니어링(PAUL WURTH)사와 협력, 제품 표준화를 통한 시장진입 계획
- •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나노섬유 제조 기술
- - 섬유 형성을 규칙적으로 제어하면서도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서 수명 향상
- - 입자포집율, 압력감소율, 향균성, 수처리시 탁도 제거율 향상
- • 전기방사법 적용 및 대량생산을 위한 자체 양산설비 설계 및 구축 기술
- - 독자 양산설비로 국내 생산공장에서 폭2M 대면적 나노섬유필터 생산
- • 공기청정기 필터 시장
- - 국내 기준 ‘13년 3,000억에서 ‘16년 1조원 돌파(’17.03.13., 뉴데일리)
- - 황사, 미세먼지 등 영향으로 공기청정기 관련 산업 지속적 성장 예상
- • 보건마스크 시장
- - ‘14년 의약외품으로 지정된 이후 ‘15년 156억원, ‘16년 200억원 등 매출 상승세
- - 황사 및 스모그, 미세먼지 등 영향으로 매년 수요 급속도 증가
- • 1단계(대기용 필터 소재 공급)
- - 공기청정기, 에어컨용 필터 소재 및 기능성 마스크 소재 공급을 통한 수익창출
- • 2단계(수질용 필터 및 기능성 섬유 공급)
- - 나노섬유에 대한 용도특허 출원 예정
- - 발전소, 반도체 공정 등 산업용 시장 진출
- • Harvard Medical School의 윤석현 교수의 원천기술로 현재까지 정확히 측정할 수 없었던 안 조직의 강성(Stiffness) 및 점탄성(Viscoelastic)을 비접촉식으로 신속⦁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 →굴절 수술, 백내장, 고도근시 등 안과분야에 응용
- • 연간 약 1조 5천억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. 인구고령화 등으로 안과 장비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음
- • 특히 최근 식생활의 변화로 굴절 수술, 백내장, 고도근시 등이 증가하여 관련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
- • 프로브 형태의 소형화된 안과용 장비를 개발하여 국내외 안과 병의원에 공급
- - 수술 및 진단에 활용하여 정확성 및 의료사고 발생률을 획기적으로 개선
- • 심혈관벽 조직 특성을 분석하며 심혈관 질병을 분석하는 용도의 카테터형 프로브에 대한 연구도 수행해 기초기술을 확보 예정
- • 법령과 판례 중심, 연관된 데이터들 검색, 분석하여 시각화 하는 법률 플랫폼 기술
- - Tensorflow를 통한 딥러닝 학습 방식 : 유사단어 벡터 구현
- • 변호사들이 쉽게 사건 해결의 실마리를 발견, 압도적인 논쟁을 준비토록 함
- - 기계학습 데이터를 생성하여 그 데이터를 통한 의미기반 정보를 제공함
- • 국내 법률검색 서비스 시장과 입법예측 시장규모 1,000억원 규모
- - 해외 리걸테크 스타트업의 투자 : ’12년 720억원에서 ’15년 3,600억원으로 확장
- - 스타트업 법률 정보 서비스 시장, 회계사 법률 시장 등 추가 진입 기회 파악
- • 시제품 오픈을 목표로 프로토 타입 개발 및 보완
- • 부산 울산 지역 변호사/법학전문원 대상으로 서비스 오픈
- - 다양한 기술적용 가능 : 의미검사 분야 확장 계획
- • 영화 제작과정에서의 씬스케쥴 및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협업 툴 서비스
- - 씬별리스트와 일정연동 기능구현, 영화촬영의 생산성 증대 기능 구현
- • 대규모 협력 프로젝트 진행시 오류발생 최소화로 비용절감과 생산적 일정관리 가능
- - 업데이트시 쉽고 빠르게 공유함으로 프로젝트 수행자들의 커뮤니케이션 증대
- • 국내외 영화, 드라마, 광고 분야 시장규모 3,600억원 규모
- - 최근 스타트업들 중심의 협업툴 시장이 증가추세, 고객 타켓층의 발굴 증대 추세
- - 신흥국 영화시장 및 미디어 시장 규모 매년 10% 이상 증가 추세
- • 캘린더 기반과 스케쥴간 업무기능으로 데이터스케쥴 관리의 최적화 시스템
- • 스마트폰으로 대규모 협력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기술력으로 타사 대비 경쟁력
- - 영화제작 과정에서의 무형자산 축적 가능, 영화인 플랫폼 구축의 경쟁력 등
- • 기존 부비동염의 정확한 진산시 CT촬영을 하고 있으나 방사선 이슈의 문제 증대
- - 현재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 기기가 없는 실정임(기존 철조법은 부정확함)
- • 빅데이터 근적외선 촬영법을 활용하여 기존 CT와 유사한 정확성, 비용절감 효과
- - 근적외선 촬영기법으로 기존의료보험 수가 적용 가능, 병원의 수익모델 기여가능
- • 국내 매년 부비동염 환자 570만명(진료비 5,224억원), 이중 9세이하 173만명
- - 국내 진료 시장 1,000억원 규모, 해외사장 2조원 규모 추정
- - 황사 및 미세먼지 등의 영향으로 코질환 등 증가 추세임
- • 기존 철조법 대비 정확도가 높고, CT촬영대비 가격경쟁력 보유
- -병의원 의사들의 편리한 작동 및 진단 가능
- • 기존 철조법의 의료보험수가 적용가능하며, 유사경쟁제품이 거의 없는 실정임
- •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한 NLP 및 AI 기반 기업 비재무 (ESG) 리스크 분석 기술
- - 토픽 모델링 및 Concept Pattern 모델링 기반 팩트 추출, 강화학습 기반 리스크 분석 알고리즘
- • 글로벌 SRI규모는 약 22조 달러 규모로 지속성장중이나, 이중 아시아는 0.8% 수준
- • SRI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ESG 데이터 및 분석 수요 역시 크게 증가
- • 정부의 적극적 추진 의지와 규제환경의 변화로 등으로 국내 수요 지속 증가 예상
- • 자사 Who’s good 플랫폼과 FACTSET 및 네이버 등을 통해 ESG 서비스 론칭(2017.1)
- • 국내 3대 공적기금 및 국내외 유수 기관투자자를 타겟으로 사용자 확보 추진
- • 뉴스분석 추가 및 Coverage 확대 예정
- - 1단계('17년) News 기반 리스크 추출 및 분석 기술 개발
- - 2단계('18년) 일본, 중국 등 해외 기업으로 분석 대상 확대 및 상용화
- - 3단계('19년) 유럽, 일본, 미국, 호주 자본시장 진출 및 글로벌 서비스 확대
- • 기존 3D 입체영상 촬영 기술은 어지러움, 근접/확대 촬영 불가, 생산 비효율성, 실시간 영상 확보 불가 등의 문제 상존
- • 단안식 촬영 기술로 이를 해결
- • 각 피사체의 초점상은 실제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만들어지며, 이 상을 렌즈 뒤쪽에서 입체로 촬영할 수 있는 일정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주요 특징
- • 또한 어지러움을 줄인 실시간 3D 영상 확보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가능, 특히 초 근접 실시간 촬영이 필요한 의료(내시경, 복강경 분야) 및 연구개발(고배율 현미경) 분야에 필요한 기술임
- • 방송영화용 3D 카메라 시장은 연간 36%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, 이는 2022년 약 12.2조원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
- • 이외 의료용 수술카메라의 경우 연간 5.8%, 의료용현미경 12.5%, 복강경수술기기 8.9%, 피부진단용 이미지 사업 8.9%의 성장률을 보이는 등 당사가 집중 타겟하는 의료기기분야의 3D 영상 구현 시장 역시 꾸준한 성장세를 예상함. (2022년 복강경 수술기기 14.4조원 규모)
- • 의료기구의 초근접 실시간 3D영상 구현은 수술 및 시술, 진단의 정확성, 신속성 등의결정적인 요소가 되는 부분임에 따라 글로벌 의료기구 및 광학 기업들의 큰 관심을 끌고있는 분야임
- • 1단계('18년) 독일 세계적 의료기기 회사와 사업화 협력
- • 2단계('18~19년) 3D 현미경 및 피부진단용 디바이스 분야 확장 연구개발 및 임상
- - 복강경 및 수술용 내시경 분야 기술 라이선스 추진
- - 3D 현미경 개발 및 사업화 및 피부진단용 디바이스 대상 임상 추진
- • 3단계('20년) 인증 및 시장공급, 상용화 : 글로벌 회사와 공동 마케팅 및 시장 협력
- • (문제점) 기존에 Copper Cable은 Skin Effect로 인해 고주파 통신에 부적합. 단거리 초고속 통신에 활용되는 Optical Fiber는 전송속도, 고비용, 전력손실, 유연성 등의 문제로 적용 범위가 제한적
- • (솔루션) 플라스틱 웨이브가이드 기술과 특화된 IC설계 기술로 Skin Effect, 속도, 비용, 전력, 유연성에 대한 한계 극복하여 초고속 통신의 단거리 케이블에 활용
- - Linley Group Research에 따르면 향후 데이터센터내 50G이상의 포트는 1,250(2018), 2,600k(2019), 10,00k(2020)에 이를 것으로 전망
이중 약 25%는 short range DAC(<3m)로 가정하고, 25%는 mid-range AOC로 가정할 경우 약 50%가 Served&Available Market으로 판단됨. 50G Cable ASP $400를 적용하면 SAM은 $240m(2018), $520m(2019), $2B(2020)에 이를 것으로 추정됨 - • 2018년 1Q에 200G 제품 샘플을 구글, 페이스북, 시스코 등에 보내어 품질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. 테스트 이후 주문을 받아 데이터센터용 인터페이스 양산 예정
- • Backplane에 적용 및 Wall Paper TV에 케이블 모듈 등에 확장
- • 기존 필름 시장의 90%이상 점유하고 있는 ITO기반 투명전극 필름 문제점 제기
- -유연화의 어려움, 고가격 등의 문제를 해결한 금속메취 기반 투명전극 필름
- • 자동차용 Flexible 디스플레이, 투명 히터, 디지털사이니 지 등으로 기존시장과 차별화된 틈새시장 진입 목표
- •Flexible 대면적 디스플레이, 투명히 터 및 디지털 사이니지 분야의 사업을 추진예정
- -투명히터의 경우 기존 자동차, 헬멧, CCTV 등에 온도 및 습도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습기를 필름 부착을 통해 손쉽게 제거하는 아이템임
- •금속매쉬 2015년 현재 5500만 달러로 2018년까지 2억8000만 달러로 성장(3,600억원) -2022년에는 10억 달러(1조 2천억원)에 이를 것으로 전망
- • 유연성을 지니고 있는 강점을 보유 및 ITO 대비 대면적화가 용이함
- • 기존 금속메쉬 필름이 지닌 문제점을 극복함
- • 현재 금속메쉬의 문제점을 극복한 제품은 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임
- • 사용자의 개입없이, 부담없이, 지속적으로(반지형) 생체신호를 수집하여 정확하게 심방세동을 탐지(개발 알고리즘)
- - 심방세동 환자의 임상시험을 통해 ECG 신호와 PPG 신호를 수집하여 학습을 통해 심방세동의 특징점(Feature)를 분석, 심방세동이 발생하는 심장 리듬 패턴을 탐지하는 알고리즘
- - Classification 알고리즘 개발 완료, SVM(support vector machine) 기반의 Machine Learning 기법 개발 중, Deep Learning (DNN) 기법 적용 예정
- - 진단 알고리즘의 정확도 검증 : AF 진단 (Sensitivity, 민감도) 98%, 정상 상태 진단 (Specificity, 특이도) 96% , 적은 임상 데이터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확보, 더욱 개선 예상
- - 하드웨어 검증 : 시제품 HR 측정 결과 98% 이상
- • 심방세동은 전체 인구중 2%이상 발병하는 흔한질병 이지만, 환자중 40%는 뇌졸중 가능성이 있으며 그중 절반이상이 사망함(또한 뇌졸중 발생가능성은 5배 증가)
- • 그러나 ‘지속적인’ 모니터링을 통해서만 확인되는 병증의 특성 때문에 통계적으로 환자의 2명중 1명은 심방세동 진단되지 않음. (기존장비로 지속적 모니터링이 불가능)
- - 심방세동 세계 시장 규모는 23.5조, 진단시장은 2.5조원으로 예상(2022년 기준)
- • 심방세동의 조기진단이 항응고제(뇌졸중 예방)의 판매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짐에 따라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 헬스케어 디바이스 기업들의 큰 관심을 끌고있는 분야임
- • 1단계('17년) 독일 세계적 제약사 바이엘과 사업화 협력
- - 바이엘과 Non-interventional study 및 Real-World Evidence Clinical Trial협력 조율
- • 2단계('18년) 초도양산 및 일상생활 환자 데이터 수집, 알고리즘 고도화
- - 헬스케어 디바이스로 초기 시장 진입 모색
- - 바이엘 독일 본사와 임상시험 및 사업화 기회 확보 (신약 임상시험 등)
- • 3단계('19년) 의료기기 인증 및 상용화 :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 마케팅 및 시장 협력
- • 프로앱텍은 바이오베터 개발회사로써 통풍치료제(라스부리카제)에 위치특이적 알부민 접착, 약효 반감기 증대, 약효의 투입횟수 감소 등의 효과성입증 의약품 사업수행
- - 위치 특이적 비천연형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재조합 단백질 제작 기술력 보유
- • 국내 통풍환자 수 37만명. 연간 10% 이상 증가추세 현재 통풍약품은 페그를 사용한 것인데 부작용이 많음
- - 통풍 제약 시장규모는 1조원 규모(1차적으로 국내, 대만, 일본에 진입계획)
- • 기존 통풍치료제로 사용하던 라스 부라카제라는 물질에 위치 특이적으로 알부민을 붙이는 기술을 보유함
- • 위치 특이적 비천연형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재조합 단백질 제작
- • 위치 특이적으로 지질체가 결합된 sfGFP의 체내 지속성 향상
엑셀로(주)

개요 | 회사명 | 엑셀로(주) | 설립일 | 2017.01.25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박성재 | 소재지 | 광양시 | |
자본금 | 업종 | 전기전자 전력IT분야 | ||
기술 | 학교 | 울산과학기술원(UNIST) | 개발자(소속) | 김재준 교수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퓨리파이테크노
개요 | 회사명 | (주)퓨리파이테크노 | 설립일 | 2016.01.04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양광훈 | 소재지 | 광주 북구 첨단과기로 | |
자본금 | 840백만원 | 업종 | 신소재 연구개발 | |
기술 | 학교 | 광주과학기술원(GIST) | 개발자(소속) | 최희철 교수(지구환경공학부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브릴리온포토닉스

개요 | 회사명 | (주)브릴리온포토닉스 | 설립일 | 2017.06.21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유장현 | 소재지 | 경기도 성남시 | |
자본금 | 33백만원 | 업종 | 의료장비 | |
기술 | 학교 | 광주과학기술원(GIST) | 개발자(소속) | 정의헌 교수 (융합기술원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개발中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코어닷투데이

개요 | 회사명 | (주)코어닷투데이 | 설립일 | 2016.03.15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장봉수 | 소재지 | 울산광역시 | |
자본금 | 25백만원 | 업종 | IT서비스 | |
기술 | 학교 | 울산과학기술원(UNIST) | 개발자(소속) | 장봉수 교수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오투팜

개요 | 회사명 | (주)오투팜 | 설립일 | 2016.01.18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홍성윤 | 소재지 | 대전광역시 | |
자본금 | 59백만원 | 업종 | IT서비스 | |
기술 | 학교 |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| 개발자(소속) | 최기선 교수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유투메드텍
개요 | 회사명 | (주)유투메드텍(예정) | 설립일 | 2017.10월중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정성일 | 소재지 | 울산광역시 | |
자본금 | 55백만원 | 업종 | IT서비스 | |
기술 | 학교 | 울산과학기술원(UNIST) | 개발자(소속) | 배성철 교수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경쟁 우위

지속가능발전소(주)

개요 | 회사명 | 지속가능발전소(주) | 설립일 | 2014.05.01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윤덕찬 | 소재지 | 인천광역시 남구 석정로 229 | |
자본금 | 52백만원 | 업종 |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제공 | |
기술 | 학교 |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| 개발자(소속) | 이문용 교수(지식서비스공학과) |
기술완성단계 | 초기 제품 출시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연시스템즈
개요 | 회사명 | (주)연시스템즈 | 설립일 | 2015.01.26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표도연 | 소재지 | 서울 광진구 능동로120 건국대학교 | |
자본금 | 13.21백만원(당사투자후) | 업종 | 촬영 기술개발 및 장비의 제조, 임대판매 | |
기술 | 학교 | 대구경북과학기술원(DGIST) | 개발자(소속) | 권순 외(미래자동차융합연구센터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(예정)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포인투테크놀로지

개요 | 회사명 | (주)포인투테크놀로지 | 설립일 | 2014.04.01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정동락 | 소재지 |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| |
자본금 | 1.25백만원 | 업종 | 네트워크장비 개발 및 판매 | |
기술 | 학교 |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| 개발자(소속) | 배현민 교수(전기 및 전자공학부) |
기술완성단계 | 초기 제품 출시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제이마이크로
개요 | 회사명 | (주)제이마이크로 | 설립일 | 2017.10.20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이승섭 | 소재지 | 대전광역시 | |
자본금 | 1천만원 | 업종 | 전자부품 제조 | |
기술 | 학교 | KAIST | 개발자(소속) | 이승섭(KAIST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경쟁 우위

(주)스카이랩스
개요 | 회사명 | (주)스카이랩스 | 설립일 | 2015.09.08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이병환 | 소재지 |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| |
자본금 | 58.17백만원(당사투자후) | 업종 | 전자장비 제조 | |
기술 | 학교 | 한국과학기술원(KAIST) | 개발자(소속) | 이용훈 교수(전기전자공학과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기술이전(예정)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사업화 계획

(주)프로앱텍
개요 | 회사명 | (주)프로앱텍 | 설립일 | 2017.09.25 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이사 | 조정행 | 소재지 | 광주광역시 GIST 창업보육센터 | |
자본금 | 1.6억원 | 업종 | 바이오 의약 | |
기술 | 학교 | GIST | 개발자(소속) | 권인찬 교수(GIST) |
기술완성단계 | 시제품 제작 및 평가 | 참여형태 | 지분편입 | |
파트너사 | 회사명 | 사업분야 |
• 사업개요
기술요약
시장현황
경쟁 우위
